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의 정의. 원인과 치료방법

by siyoni 2024. 5. 25.

위에 있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여러 불편함을 총칭하여 말하기도 한다.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 가슴쓰림, 속 아픔 목에 이물질이 낀 것 같은 불편함을 느낀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은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위·식도의 경계 부분이 닫혀서 내용물이 식도로 넘어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위 식도 경계 부분은 왜 닫히지 않는지 대표적으로 원인 몇 가지를 보자면. 첫 번째, 음식으로 들어온 위 내용물의 정체나, 식후의 유문 협착, 위액분비 과다로 위에 있는 내용물이 많으면 그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가야 하는데, 가지 못해 식류로 역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누워 있거나 구부린 자세로 있으면 위 내용물이 식도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역류가 더 잘 발생한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배 안에서의 위가 압력을 받을 경우이다. 예를 들면 복대를 착용해 위가 압력을 받는다거나, 잦은 기침을 한다거나 임신해서 위가 압력을 받는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세 번째는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괄약근 즉 근육이 힘이 줄어들면 역류가 일어납니다. 목과 식도 사이의 괄약근 즉 근육을 약해지게 하는 음식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매운 음식, 기름진 음식, 다양한 맛의 과일주스, 콜라, 음주, 흡연 등이 있습니다. 또 스트레스가 너무 많거나 긴장을 많이 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한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예방 방법

역류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이 있다.

대부분 역류성 식도염은 강한 산성의 위액이 역류해 식도와 위를 자극하기 때문에 위와 식도 부분이 타는듯한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심한 통증을 'Heartburn'이라고 한다. 심할 경우는 트림할 때 음식물이 함께 역류할 수도 있다. 심장이 빨리 뛰어 공황장애 증상과 불면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가 기침을 자주 하는데 기침할 때마다 역류 하는 분비물 때문에, 입안에 쓴맛이 계속 남아 있는 증상이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목과 가슴에서 답답한 느낌을 받는다. 그렇다면 예방 방법은 알아보자 가장 기본적으로 과식 후 바로 눕지 않는다는 것이다 위와 식도를 막아주는 괄약근의 힘을 낮추는 음식물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콜라, 과일주스,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 , 등 위에 자극적인 음식은 가끔 적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비만일 경우에는 체중을 줄이는 것이 좋다. 위를 압박해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몸에 끼는 옷을 자제하고 일상생활 중에는 몸을 숙이는 등 음식물이 역류 하기 쉬운 자세를 삼가는 것이다.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방법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방법은 위산분비억제제 약을 섭취 후 위의 상태가 좋아지는지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다. 위산 분비 억제제는 역류성 식도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물이기도 하다. 이 방법은 대개 2주에서 ~ 1달 정도 시도한다. 이 검사에 반응이 없다면 두 번째 단계는 식도에다가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 측정기를 걸어놓고 적게는 하루에서, 많게는 이틀까지 장착하며 지낸 후 pH가 정상보다 떨어지는 시간이 많은지를 확인한다. 이 검사는 코로 넣어서 식도에 걸어두는 건데 많이 불편해 요즘은 캡슐 형태로 식도 안에 넣어 무선으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식도 내시경 검사도 있다. 쉽게 말하면 직접 식도에 내시경을 넣어서 보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식도 내시경의 경우에는 앞에 검사에 반응이 없었을 경우나 증상이 매우 심각했을 때 사용한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 방법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크게 나누면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약물치료, 생활 습관 변경, 내시경 검사, 필요할 경우 수술까지 포함한다.약물 치료는 약물을 통해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여 역류를 줄인다. 위상 운동 조절제나 항산화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변경은 역류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을 피하고, 소량의 식사를 여러 번 한다. 음식 섭취 후 바로 누워있지 않도록 하고, 체중 감량을 해 압력으로 인해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치료적 절차는 내시경 검사로 식도 안쪽을 확인하고 이상 부분을 제거하거나 검사한다. 심각할 경우에는 수술도 필요할 경우가 있는데 수술은 식도 역류를 막거나 식도 안의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시행된다. 이런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은 환자의 개별적인 상태와 증상에 따라서 의료 전문가의 지도와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